안녕하세요,
소개드릴 것은 투시자님께서 2020.11.04 일에 업로드하신 동영상(약25분)인데요, 최근 코비드19 방역 및 백신패스 및 백신접종 정책에 관하여, 대다수의 국민들이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당장 백신 접종 중지를 요구하시는 의사선생님들의 설명과 합리적인 주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정부측의 모순적인 설명을 순순히 믿고 따르며 하나뿐인 소중한 목숨을 걸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간략한 요약>
본 영상에서는 인간의 대중심리와 순응에 관한 5가지의 실험을 소개하며, 한 사람이 독립적으로 있을 때는 상당히 합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결정을 내리는 것에 반해 어떤 특정 패턴을 보이는 다수의 군중 속에 있을 때 한 개인으로서 이성적인 판단을 하기 보다는 그저 군중과 동화되어 때로는 생명의 위협이 있을 수 있는 상황에서조차도 놀랍게 순응하는 것을 잘 보여줍니다.
총 5가지의 실험을 소개하고 있어요.
실험 1) 클리닉에서 삐 소리가 울리면 자리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아무 이유없이 따라하는 것
실험 2) 애쉬실험 - 시각적 인지능력 테스트에서 한 개인이 조작된 다수의 잘못된 답을 따라 대답하는 것
실험 3) 엘리베이터 안에서 한 개인이 다수가 문 반대 방향으로 서 있을 때 이에 결국 순응하는 것
실험 4) 런던의 리버풀 역 입구에서 한 사람이 쓰러져 있을 때 사람들의 반응
실험 5) 연기가 나는 위험한 환경에서도 주변 사람들의 무심한 반응에 순응하여 대피하지 않는 사람들
결론적으로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로서, 주변 사람들과 동화되고 따라갈 때 행복하게 느끼는, 순응하기 원하는 본능이 있다고 보네요.
그리고, 이러한 인간의 대중심리와 사회적 순응 본능을 왕이나 엘리트 집단이 악용할 수 있으며, 굳이 사실과 진리를 기반하지 않고도 자기들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자국민에게 어떤 사고/이념/언론의 틀을 강요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이것이 <투명한 생각의 감옥>이 되어 이러한 사고의 틀 안에서만 사고하고 논쟁하고 토의하게 허용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틀을 벗어나 생각하고 모순을 지적하며 진실을 밝히는 자들은 정부와 이들이 이끄는 언론/교육/과학/문화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격리되고, 미치광이, 음모론자라고 불리게 되고 이 투명한 생각의 감옥 안에서만 사고하는 대중들의 미움을 받게 된다고 합니다.
일례로써 9.11 사태 시 쌍둥이 빌딩 역시 충돌한 비행기에 의해 붕괴된 것이 아니라, 건물 파괴 공법에 의한 계획된 파괴였음을 간단히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 이후 언론 뿐 아니라 다양한 계층의 활동에 의해 미국 및 전 세계적인 애국주의와 반테러리즘의 분위기를 이끈 것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고 있습니다.
<영상 일부 요약>

실험 1) 클리닉에서 삐 소리가 울리면 자리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아무 이유없이 따라하는 것













실험 2) 애쉬실험 - 시각적 인지능력 테스트에서 한 개인이 조작된 다수의 잘못된 답을 따라 대답하는 것





실험 중 참가자는 연기자들의 잘못된 일관된 답에 순응하여 따라가게 됩니다.

실험 3) 엘리베이터 안에서 한 개인이 다수가 문 반대 방향으로 서 있을 때 이에 결국 순응하는 것





위의 실험에서도 어색한 상황에 주저하기도 하지만 결국 순응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실험 4) 런던의 리버풀 역 입구에서 한 사람이 쓰러져 있을 때 사람들의 반응











실험 5) 연기가 나는 위험한 환경에서도 주변 사람들의 무심한 반응에 순응하여 대피하지 않는 사람들
이 실험은 개인이 혼자라면 오히려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지만, 군중속에 있을 때는 개인의 목숨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군중과 동화된 행동을 한다는 내용입니다.

















실험이 아니었다면 로렌은 이미 돌아가셨을 겁니다.
평균적으로 대피를 위해 약 13분이 걸렸다고 합니다.

투시자님은 군중심리를 따르는 "사회적 순응의 본능"에 대해 다음의 5가지 특징을 정리했습니다.







<9.11 트윈타워 붕괴 모습 분석>

이것은 충돌에 의한 붕괴가 아니라, 건물해체공법에 의한 것으로 보임

다음은 건물해체공법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을 경우의 건물붕괴 모습

911 현장

이 상황을 보도하는 전 세계 언론의 모습

이처럼, 한 개인이 어떤 상황에서 본인의 판단이 옳다고 생각한다고 해도, 가까운 친구와 가족들 앞에서, 직장에서, 학교에서, 한 나라 안에서, 전 세계 모든 사람 앞에서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영상에 관심있으신 분은 실험은 빨리 넘겨 보시고 중간에 정리하는 투시자님의 멘트를 들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출처:
투시자님의 네이버TV 계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익한 내용이 꽤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동영상 링크입니다.
DawnBreaks님, 유익한 내용을 정성껏 정리해 주심에 감사 드립니다.
이 글을 읽으면서 저의 모습을 돌아보며 정신이 번쩍 들었습니다.
저도 마음 또는 양심의 소리를 무시하고 사회의 통념대로 행동했던 적이
얼마나 많았었는지요.
그러면 도대체 인류에게 왜 이런 사회적 동조 현상이 자리잡은 것일까
곰곰이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분명히 인류의 생존에 기여하는 바가 있었을 것입니다.
의식이 뚜렷이 발달하지 않은 경우 개인의 판단은 틀리기가 쉽습니다.
그럴 때에는 다수를 따라가는 것이 생존을 보장할 수도 있으므로
사회적 동조 현상이 긴 역사를 통해 인류 속에 자리잡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그러나 인간의 의식이 뚜렷해 짐에 따라,
특히 신 앞에서 자기를 성찰할 때 들려오는 양심의 소리를 무시하지 않은
수많은 용감한 사람들이 있었고
그들을 통해 인류의 역사가 정화되어 왔음을 부인할 수가 없습니다.
그분들께 고개숙여 경의와 감사를 드립니다.
이제 인류 역사의 마지막 때에 하나님과 사탄의 전쟁이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
이때에는 다수의 횡포에 저항하고 양심의 소리를 따르는 것이
옳은 일임은 물론이고 우리의 생존을 보장하는 일이 되었습니다.
소신껏 살아야만 영적인 생명을 보존할 수 있는 세상이 된 것입니다.
이런 중요한 시기에 위와 같이 좋은 글을 만나게 되어 감사한 마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