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 2021.12.09. 오후 3:40 최종수정 2021.12.09. 오후 3:52
질병청, 소아·청소년 백신접종 온라인 브리핑
통계적 근거 제시하며 학부모·학생 설득했지만
친여 매체 단골 전문가 출연에 반감
“너네는 왜 마스크를 안 쓰냐?” “전문가 저 사람들밖에 없나?” 9일 오후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전문가들과 특집브리핑에 출연해 소아·청소년 백신 접종 필요성을 설명한 실시간 영상 채팅창에는 이런 글이 연이어 올라왔다. 소아·청소년에게도 ‘방역 패스’를 적용한다는 정부 방침에 학생·학부모 반발이 커지는 가운데, 정 청장과 전문가들이 통계 데이터를 근거로 들며 직접 설득에 나섰지만 반응은 냉담했다.

이날 정 청장은 질병관리청 브리핑실에서 질병청 1339 콜센터 등을 통해 접수된 학생·학부모 질문에 전문가들과 답변하는 시간을 가졌다. 민간 전문가로는 이재갑 한림대 의대 교수와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 참석했다. 특별브리핑은 당초 계획된 오후 1시 30분보다 약 5분 늦게 시작했고 1시간가량 진행됐다. 학생·학부모 네티즌의 심기를 처음 긁은 것은 출연자들의 ‘노마스크(no-mask)’였다. 브리핑 시작과 함께 정 청장은 소아·청소년 코로나 확진자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현황을 발표했다. “12~17세 미접종군 코로나 발생률이 접종완료군의 25.3배이며, 12~17세 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신고율도 0.28% 수준”이라는 통계도 소개했다. 그러나 네티즌들은 ‘통계’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 정 청장과 질병관리청 고재영 대변인, 이재갑 교수가 마스크를 쓰지 않고 있는 모습에 더 반응을 보였다. “마스크부터 쓰라” “너네는 왜 마스크를 안 쓰느냐”는 지적이 나왔다. 실시간 채팅창에 이런 지적이 올라온 뒤 이후 정 청장과 이 교수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브리핑에 임하는 모습이었다.

시청자들은 특히 민간 방역 전문 패널로 배석한 이재갑·정재훈 두 교수에 대한 불만을 강하게 드러냈다. 보건당국에서 ‘방역 전문가’를 부를 때 두 교수가 자주 나오며, 주로 보건당국의 계획을 지지하는 발언을 해왔다는 이유에서였다. 실제로 이 교수의 경우, 대표적인 친여(親與) 방송인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코로나 사태가 시작된 작년 1월 이후에만 48회 출연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 교수도 전문가로서 “정부가 코로나19 초기 방역 성공에 너무 오래 도취돼 있다” “위중증·사망자 중심 방역 전환은 시기상조” 등 여러 차례 정부의 낙관론에 경고를 보낸 바 있음에도, 많은 시청자는 이들을 ‘정부 당국과 한편’으로 인식하고 비난 댓글을 올렸다. 채팅창에는 “저기요, 이재갑 정재훈 좀 초대 안 하면 안 돼요?” “AI(인공지능) 인가요. 똑같은 이야기만 반복” “대한민국에 전문가가 두 사람 뿐인가요?” 같은 글이 올라왔다. “코로나 저사람들 때문에 더 번졌는데 어떻게 맨날 저사람들 초대하냐” “반대하는 전문가 의견도 들어보고 싶다. 왜 찬성하는 전문가만 나오는가” “의사들 반대하는 목소리는 왜 차단시키고 저 둘만 매일 나오는 것인가”라는 반응도 있었다.

이런 상황은 전날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온라인 포럼에서도 비슷하게 벌어졌다. 청소년 백신 접종과 관련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질문에 답하는 행사를 열었지만, 이 때도 네티즌 반응은 냉담했다. “너나 맞아라” “쇼 집어치워라” “학생들이 범죄자보다 못 하다” “대본 읽느냐” “포럼마저 소통이 아닌 강요”라는 반응이 쏟아졌다. 당시 행사에서도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가 참여했었다.





코로나19 백신접종 온라인 포럼서 학생·학부모들 반발 "종교시설은 안 하면서 왜 학원·독서실만 하나요" 지적 "너나 맞아라" "우리를 개돼지로 본건가요" 비판하기도 유은혜 "확진 청소년 대다수가 미접종…개선방안 마련"



대부분이 백신접종과 방역 패스 적용에 반발하는 학생과 학부모들의 글들이다. 학부모로 추정되는 한 작성자는 “방역패스 반대·거부한다”며 “백신이 문제가 없다니 해당 부서 직원 자녀들 먼저 맞게 하라”고 목소리 높였다. “이러려고 전면등교 했느냐”, “재난지원금 던져주고 말 잘들어라. 우리를 개 돼지로 본건가”라는 비판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었다. 이날 학부모 단체와 시민사회단체는 “정부의 청소년 대상 방역패스 적용은 학습권과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법치주의 바로 세우기 행동연대(법세련)·서울교육살리기학부모연대·서울바로세우기시민연대는 이날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소년 방역패스 정책 이면에는 학원이나 도서관 등을 이용하려면 백신을 접종하라는 것이고, 이는 사실상 백신 접종을 강제하는 것”이라며 “전면 재고할 것을 강력히 권고해달라”고 인권위에 촉구했다. 출처 : 조선일보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23&aid=0003658604
출처 : 서울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