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선거라는 주제는 많은 이들에게 음모론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요즘 같은 세상에 무슨 부정선거?”라고 반문하실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디지털 시대의 현실을 너무 순진하게 바라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오히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부정선거를 더욱 교묘하고 쉽게 저지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부정선거의 글로벌 사례
캐나다에서는 2019년과 2021년 총선에서 중국이 친중 성향 정치인을 지원하고 반중 정치인을 방해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캐나다 보안정보국(CSIS)은 이러한 개입 시도가 있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관련 조사 결과는 현지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고, 이러한 개입 시도가 단순한 추측이 아닌 현실임을 보여주었습니다.
호주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드러났습니다. 호주 국가안보정보원(ASIO)은 중국이 정치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를 테러리즘보다 더 심각한 문제로 간주하고 철저히 조사했습니다. 이러한 사건은 국제 사회에서 선거 개입이 단순한 음모론이 아닌 실질적인 위협임을 증명합니다.
일본에서는 2017년 10월 총선거에서 발생한 부정선거 사건이 적발되었습니다. YTN의 2018년 보도에 따르면, 시 공무원 3명이 개표 과정에서 투표자 수와 개표된 표 수의 불일치를 발견하고, 여분의 백지 투표용지를 포함시켜 숫자를 조작했습니다. 이후 실제 투표함이 발견되자, 조작 사실이 드러날 것을 우려한 이들은 진짜 투표용지를 소각하며 증거를 인멸하려 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부정선거가 현실로 발생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미국에서는 중국이 미국 대선에 개입을 시도했다는 증거가 있다고 미 국무부 장관 토니 블링컨이 발표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상황은 어떨까?
대한민국은 북한과 대치하며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과 가까운 지정학적 위치에 있습니다. 과연 이런 환경에서 우리나라 선거가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을까요?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드는 것은 선거관리위원회의 허술한 보안 체계입니다. 과거 국정원의 감사 결과, **선관위의 비밀번호가 단순한 ‘12345’였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습니다. 이러한 낮은 보안 수준으로 과연 선거의 공정성이 보장될 수 있을까요?
의심스러운 통계와 사전투표
2024년 4월 총선에서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사전투표를 적극 독려했습니다. 특히 60~70대 보수 성향의 유권자들이 대거 사전투표에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이 압승을 거둔 결과는 의문을 자아냅니다. 이는 사전투표와 본 투표 간의 결과 불일치라는 문제를 다시금 떠올리게 합니다.
중국이 미국 대선에 개입을 시도한 증거가 공개되었고, 캐나다와 호주에서는 선거 개입 사례가 드러났으며, 일본에서도 부정선거가 적발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을까요? 언론은 부정선거 의혹을 극우 세력의 선동으로 치부하며 이를 외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가 과연 국민의 알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는 것일까요?
결론: 선택은 우리의 몫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 정치인들이 전혀 부정과 부패가 없었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정치권과 언론 모두 부패와 비리에 물들어 부정선거 의혹을 외면하고 있는 걸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각자가 내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가 대한민국을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문제를 외면하지 않고 직접 자료를 찾아보고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점입니다. 부정선거는 단순히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의 근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제는 모든 시민이 깨어나야 할 때입니다.
출처
캐나다
호주
일본
https://www.ytn.co.kr/_ln/0104_201802100003081261?utm_source=chatgpt.com
미국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398662?utm_source=chatgpt.com